최근 천체망원경을 샀으나 비가 오거나 매우 흐려서 하늘 구경하기가 쉽지 않았다.
날이 흐린 관계로 타이밍이 좋을 때 달을 볼 수 있었다. 다른 별은 도심이라 보긴 쉽지 않다.
공부한 것에 따라서 극축을 정렬하고 관측을 진행했다.
꽤 정확히 맞추었다고 생각했는데,
적위축 미세조정 케이블을 한 숨 뛰고 만지게 된다.
적위축 조정하는 비율에 맞추어서 위도 정렬을 조금 해두어야겠다.
적경 축 자동 조절 시스템 설계
적경 축 자동 조절을 하기 위한 정렬 과정과 적경 축 자동 회전기능을 고려하여 시스템을 고민해보았다.
경도의식 가대가 아니기에 구동기가 복잡하게 설계 될 필요가 없으나,
적도의식 가대는 정렬 기능 검증을 확실히 해 줄 필요가 있다.
고민해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정렬 기능의 수행과 적경 축 자동 회전 기능으로 기능을 나눈다.
첫번째로 정렬 기능의 수행은 다음의 과정으로 나눈다.
위 사진의 방위각과 고도각을 조절하기 위해서 빨간 박스 부분에 가속도계를 설치한다.
이는 중력 가속도 방향을 이용하여 자세를 계산할 수 있다.
롤 축 방향을 적경 축에 정렬해둔다.
그리고 적경 각도는 사람이 조절한 후, 적경 축 자동 회전을 구동 기능을 작동시키도록 한다.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위도 정렬
1.1. 자세 각 측정
1.2. 사람이 계측한 위도에 맞는 방위각과 고도각으로 정렬한다.
디스플레이에는 사람이 조정할 수 있도록 계측한 방위각과 고도각을 표시한다.
1.3. 1.1~1.2를 반복 수행하여 일정 이하로 조정한다.
2. 적경 자동 회전 기능 수행
2.1. 지구 자전에 맞추어 적경 회전 속도를 설정한다. 이는 기본 값으로 설정한다.
2.2. 적경 각도를 설정하여 원하는 천체로 설정한다.
2.3. 적경 자동 회전 버튼을 누른다.
2.4. 적경 자동 회전 상태를 표시한다.
필요한 물리적 기능은 다음과 같다.
1. 가속도 계측 (자세 계측)
2. 디스플레이 기능 (문자 표시)
3. 일정한 회전 속도 유지 기능
IMU, MCU, 스텝모터와 타이밍 벨트로 구성된 풀리로 구성하면 될 것 같다.
GPS는 직렬 통신, IMU는 I2C, 스텝모터는 PWM과 GPIO 핀이 있으면 된다.
아두이노 우노로 작업하면 될 것 같다.
'잡담 > ForFu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 i30] 외부손잡이 교체하기 (0) | 2024.02.18 |
---|---|
[천체관측] 별구경 - 보름달과 토성 (0) | 2021.10.22 |
[리뷰] Flopbot, 단풍나무 씨앗에 영감을 받은 작품 (0) | 2021.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