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전력 고성능의 SoC(System on Chip) 인 ESP8266을 이용하여 IOT 단말을 많이 한다.
또한 ESP 칩은 RTOS를 사용할 경우, 삼성의 SmartThings와 STDK(SmartThings SDK)를 이용하여 연동할 수 있다고 한다.
ESP8266은 메모리, 연산장치, 주변장치 IO 및 WIFI 모듈이 탑재된 작은 칩셋이다.
나는 개발보드로 주변장치 연결이 용이한 NodeMCU을 선택했다. 이는 ESP8266을 개발하기 위한 개발키트 중 하나이다.[1]
개발보드를 사려하니, 여러 차이점들이 있었다.
NodeMCU의 버전 별 차이점은..? (V1, V2, V3) [2]
1세대인 V1 보드는 NodeMCU의 첫 보드인 듯 하다. ESP-12 모듈을 사용한다.
2세대는 V2와 V3는 첫 보드에 비해 폭이 좁게 만들었는데, 빵판에 꽂기 좋게 되어있다고 한다., EPS-12E 와 12F 모듈을 사용한다.
이 중, V3의 차이는 원래 Reserved라고 된 Pinout을 GND와 USB의 입력전압(5V)를 뽑을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달리 보면 Micro USB 포트를 안 꼳고 저 핀에 전압을 인가하면 배터리 등과 같이 Standalone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CP2102 vs CH340 [3,4]
보드 종류를 보면 USB 통신 칩셋이 다른 경우가 있다. 둘 다 UART-USB Converter이지만 CH340은 CP2102의 카피판 칩이라 싸다고 한다. 또한 CH340은 MacOS에서는 작동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지만 기능은 동일하다 한다.
ESP-12E와 ESP-12F 모듈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5]
pinout은 동일하다. 12E 와 비교했을 때, 12F 모듈은 메모리 사이즈가 크고 PCB 안테나가 보다 최적으로 설계되어 통신 성능 관점에서 통신 거리가 30~50%가량 향상되었으며, 전파 출력이 더 크다고 한다.
1) NodeMCU https://www.nodemcu.com/index_en.html
2) Marcel Stör, "Comparison of ESP8266 NodeMCU development boards," https://frightanic.com/iot/comparison-of-esp8266-nodemcu-development-boards/, Sep. 2015.
3)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nodemcu ch340 and cp2102? What's better?," https://arduino.stackexchange.com/questions/54640/difference-between-these-two-nodemcu-boards
4) "CP2102 V.S CH340," https://forum.arduino.cc/t/cp2102-v-s-ch340/679736
5) "ESP12E VS ESP12F: Which one is better?," https://www.utmel.com/components/esp12e-vs-esp12f-which-one-is-better?id=1441
'개인공부 > 망원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duino] NodeMCU v3 으로 기능 개발하기 (1) (0) | 2022.12.18 |
---|---|
레이저 콜리메이터를 이용한 뉴턴식 반사망원경의 광축 정렬 (How to collimate a telescope using laser collimator?) (2) | 2022.12.10 |
[천체관측] 별 일주 사진 합성을 위해 Startrails 사용해보기 (0) | 2022.06.03 |
[천체관측] 화악터널 근처 방문자쉼터 은하수 구경 (0) | 2022.06.03 |
[천체관측] 반사망원경의 적도의식 가대 설치 및 정렬 방법 정리 (0) | 2021.10.10 |